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골리아드
- 레트로
- 유통
- 너바나
- 제임스 디오
- nirvana
- 레오넹
- 음악
- Mild Seven
- 기타
- 기보법
- 일렉기타
- 트르바두르
- 레트로 이해
- (Blockchain
- 삼페
- 미래 유통
- 종글뢰르
- Les Paul
- 단선율
- RETRO 이해
- 이커머스
- 깁슨
- 음악의 기능
- Gibson
- 신세계
- 미래
- ssg.
- 레스폴
- ssg
- Today
- Total
RADIOstyle
음악은 언제부터시작되었을까 1 본문
중세시대 음악
중세 음악의 형성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.
그레고리안 찬트의 종교적 기능과 그 특징을 정의할 수 있다.
초기 기보법의 형성과정과 계명창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.
단성음악과 다성음악의 개념을 이해하고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.
세속음악과 종교음악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.
1. 중세 음악의 개요
교회음악 중심의 시대
• 312년 기독교 공인 이후 중세는 기독교의 시대
• 중세 음악사 역시 가톨릭 교회음악을 중심으로 기록
• 교회음악과 세속음악(Secular music)이 엄격히 구별된 시기
• 신분제 속에 있었던 교회 음악가들이 음악의 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리
2 그레고리안 성가
특징
• 미사(Mass) 예식을 위한 중세를 대표하는 라틴어 무반주 단성 음악
• 교회 내에서 구전된 음악을 9세기경 공식적으로 채택하여 엮음
• 음악적효과, 감각적 전개를 지양 엄격하고 단순화된 진행, 전개가 불가능한 음악
• 미사 전례에 필요한 기도문을 낭독할 때 그레고리안 찬트가 사용
• 기도문에 단선율을 얹어 전례에 사용한 것이 그레고리안 찬트의 시작
3. Neuma 기보법
• 중세의 기보법으로 그레고리안 찬트의 기록에 사용된 기보법
- 규칙은 있으나 정확한 음의 높낮이와 길이를 정량적으로 표현
• 훗날 Guido d’Arezzo (991~1050)가 보표선을 도입
4. 계명창(solmization)
• 성요한 찬가(그레고리안 찬트) 각 구절의 첫음절 차용
- Ut Queant laxis : 당신의 종들이 (17세기 Dominus로 바뀜)
- Resonare fibris : 자유로이 노래할 수 있도록
- Mira gestorum : 기적을 행하시는
- Famuli tuorum : 당신의 역사로써
- Solve pollute : 정결케 하소서 모든 흠을
- Labii reatum : 그들의 더러운 입술로부터
- Sancte Joannes : 성요한 이여
'음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음악은 언제부터시작되었을까 3 (0) | 2023.03.14 |
---|---|
음악은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2 (0) | 2023.03.14 |
무엇이 음악인가 (0) | 2023.03.12 |
음악가의 역사 (0) | 2023.03.12 |
음악의 기능 (0) | 2023.03.12 |